옛독서노트 다시읽기

옛독서노특 다시읽기..6.맬서스의 함정을 피해 7.노예해방 8.발명의 발명../이성적 낙관주의자

햄릿.데미안.조르바 2025. 4. 26. 20:51

6.맬서스의 함정을 피해...1200년 이후의 인구 Escaping Malthus's trap; Population after 1200.

오늘날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이 걱정하는 것은 인구폭발보다 고령화다. 출산율이 매우 낮은 국가들에서 노동인구중 고령자 비륭리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향후 인류는 전대미문의 무한한 진보를 향해 점점 빠르게 나아갈 것인가, 아니면 영원히 행복과 비참 사이를 규칙적으로 오갈수박에 없는가?

 

인간은 동물의 한 종류에 지나지않기 때문에 인구이야기도 단순할 수박에 없다ㅣ 식량을 더 주면 아기를 더 많이 나을 것이다. 인구밀도가 점점 늘다가 결국 굶주림과 포식자와 기생충이 시스템을 붕괴시키는 지점에 이를 때까지 말이다. 상승은 간헐적이지만 그 추세는 거침이 없다.

 

7.노예해방...1700년 이후의 에너지 The release of slaves; Energy after 1700

현대와 같은 생활수준이 가능한 것은 피스톤을 움직이고 발전기를 도리는 화석연료 덕분이다. 석탄 같은 자원은 재생불가능하지만 양은 충분히 풍부하다.

석탄이 인ㅆ으면 거의 모든 일이 가능해지거나 쉬워진다. 만일 그것이 없다면 우리는 예전의 힘들고 궁핍한 시절로 돌아가야 할 것이다.

(종국적으로 노예제를 비경제적이게 만든 것은 화석연료였다)/자본주의가 노예제를 근절했다.

일단 화석연료가 가세하자 경제가 정ㅁ라로 도약해 맬서스식 제약을 뚫고 거의 무한히 성장하여면서 생활수준을 향상시켰다. 한마디로 말해, 오로지 화석연료가 가세한 덕분에 비로서 성장이 지속가능해진 것이다.

 

8.발명의 발명...1800년 이후의 수확체증 The invention of invention; Increasing returns after 1800

지식이 놀랍고 멋진 것은 진실로 한계가 없기때문이다. 아이디어.발명.발견이 고갈된다는 것은 심지어 이론적으로도 불가능하다. 낙관주으ㅟ의 가장 큰 근거는 여기에 있다.

나에게 아이디어를 전달받는 사람은 내 아이디어를 감소시키는 일 없이 가르침을 받는 것이다. 내촛불에 양초 심지를 대느 사람이 나을 어둡게 만들지않으면서 불을 댕기듯이 말이다.

수확체감;견과류 대접에서 피칸을 골라내는 일..대접에 남은 피칸은 크기도 작아지고 수도 줄어든다...

(지구라는견과류 대접은, 인간이 피칸을 얼마나 많이 꺼내쓰든 그보다 더 많은 피칸을 변함없이 계속 내놓았다.)...수확체증?

 

수확체증의 속도는 1만년 전쯤 농업혁명이 일어났을때 급격히 빨라지기 ㅣ시작햇다. 그 속도는 서기1800년 다시 급증햇고 20세기에도 같은 추세가 이어졌다.

번영하면 할수록 더 많은 번영이, 발명을 하면 할수로고 더많은발명이 가능해진다.

어떻게이런 일이 가능한가? 피칸이나 발전소같은 사물의 세계에서는 수확체감이 지배하는 경우가 흔하다. 하지만 아이디어의 세계는 그렇지 않다. 촛불과 같ㅋ이 자신은 잃은 것없이 남에게 줄 ㅜ수있다.

 

신지식의 가능성이 정체상태를 불가능하게 만든다. 어딘가의 누군가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낸다.

'자연상태'란 무엇인가? 고정불변인가?

떡갈나무 묘목은 떡갈나무 밑에서 번성할 수 없다(떡갈나무를 먹는 해충들이 비오듯 떨어진다)..그래서 불과 몇천년 지나지않아 떡갈나무숲의 떡갈나무 지배는 무너지고 새로운 다른 것에 자리를 내주게 된다.

빅토리아 호수는15,000년전 완전히 메마른 곳이었다. 아마존 우림은 끝없ㄱ는 요동상태에 있다.

계속 변화해야 생명다양성이 유지되는 데 유리하다. 자연에는 평형 같은 게 없다. 오직 지속적인 활력이 있을 뿐이다. '오래 지속되는 것은 오직 변화뿐이다'/헤라클레이토스

 

이노베이션은 들불과 같다.

거리의 소멸 abolition of distance

변경의 소멸 disappearance of frontiers

20세기의 역사는, 과거 부자들만이 누릴 수 인ㅆ었던 특권을 모두가 누릴 수 있께 만든 역사였다.

'19세기의 가장 큰 발명은, 발명하는 방법을 발명한 것이었다'

 

무엇이 이노베이션 엔진을 움직이는가?

원래 혁신을 장려하는 방법은 자본과 재능을 합치는 것이다...18세기 영국의 산업혁명/ 하지만, 상 대부분의 기간동안 사람들은 자본과 재능을 분리해놓는 데 능했다...로마 제국주의 시대...18세기 프랑스, 루이 14세시대...

(한 남자가 티베리우스 황제에게 깨지지않는 유리제품을 소개했다...보상을 기대한 것이다..황제는 비법을 아는 사람이 또ㅓ있느냐고 물언ㅆ다. 없다는 사실을 확인한 황제는 그의 목을 베개ㅔ한다. 신제품이 금의 상대적 가치를 폭락시킬 것을 우려한 것이다)

제국시대 중국도 현상유지에 위협이 되는 발명재능을 가진 모든 사람의의욕을 꺾으려 애썼다.

민간기업들은 다른 곳에서 혁신이 일어나 시장을 몽땅 빼앗길지 모른다는 슈ㅜㅁ페터적 두려움에 사로잡혔다.

위대한 혁신가들은 통상 아웃사이더들이다.

처음에는 혁신적 열정에 불타서 시작했을지라도, 기업이나 관료체제가 일단 비대해지기 시작하면 사정이 달라진다. 이들은 리스크를 싫어한 나머지 러다이트운동(일자리르 빼앗는다며 노동자들이 기계를 파괴했던 운동) 수준까지 간다.

(기업의 생애에서 가장 위험한 순간은 성공했을때..이때부터 혁신은 중단하기 때문이다)

'이 전화기는 통신수단이라고 보기에는 단점이 너무 많다. 이 장치는 본질적으로 우리에게 아무런 가치가 없다'...1876년 웨스턴유니언 사의 내부메모;

IBM이 아니라 애플이 개인용 콤퓨터를 완성시키고, 프랑스군이 아니라 라이트형제가 동력비행을 발명하고..영국보건성이 아니라 조너스 소크가 소아마비백신을, 미국우정성이 아니라 아마존이 원클릭 주문시스템을...핀란드의 국영전화국이 아니라, 목재 공급회사가 이동전화사업의 세계적 리더가 된 이유...

해결책은...직원들에게 창의적 기업가처럼 행동할 수 있는 자유를 주는 것...1990년의 소니/젝웰치가 경영하던 GE=회사를 서로 경쟁하는 작은단위로쪼갠 것...

3M; 자사의 과학자들에게 근무시간의 15%를 각자의 독립프로젝트와 고객 아이디어 취합에 쓰라고 지시햇다...

(1980년 직원 아트 프라이가 생각해낸 아이디어가 성공을 거두자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프라이는 교회에서 자신의 찬송가에 표시를 해두려고 시도하던 중..잘붙고 잘떨어지는 메모용지/포스트잇 아이디어를 생각해냇다)

 

현대 셰게ㅐ의 비밀은 막대한 상호연결성에 있다. 지구상 모든 곳에서 아이디어들이 다른 아이디어들과 점점 복잡한 난교를 벌이고 있다.

전화와 콤퓨터가 섹스해 인터넷을 낳았다. 최초의 자동차는 마치 '자전거 남편을 둔 마차가 낳은 자식'처럼 보였다. 거의 모든 기술은 잡종이다.

이는 문화적 진화가 유전적 진화보다 훨씬 큰 이점을 지니는 영역 중 하나다.

 

혁신에 한계가 없다면 어째서 모든 사람이 미래를 그토록 비관적으로 보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