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정을 바칠 수 있는 도시가 강한 도시입니다.
상트 페테르부르크는 소련이 해체되기 전까지 레닌그라드라 불리었던 고도.
‘역설의 도시’
일찍이 표트르 대제가 낙후한 제정 러시아를 강력한 제국으로 만들기 위하여 이곳으로 천도하여 혼신의 정열을 기울여 이룩한 도시였음에도 불구하고,
역설적이게도 제정을 붕괴시킨 혁명의 도시가 되어버린 역사의 아이러니를 두고 한 말.
‘유럽을 향하여 열린 창’이었던 페테르부르크는 그 열린 창으로 쏟아져들어오는 새로운 사상으로 말미암아 도리어 제정 러시아의 전제정치가 역조명되고 결국 제정의 붕괴로 이어졌다.
최초의 사회주의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된 역사의 현장.
1905년 빵과 자유를 외치며 행진해 온 민중들이 총탄의 세례를 받고 쓰러진 궁전광장,
농노제와 전제정치를 반대하여 궐기한 지식인들의 양심이 좌절된 데카브리스트 광장,
그리고 1917년 10월 혁명의 신호를 올린 오로라 순양함 등.
혁명이 자취를 찾아다니는 동안, 페테르부르크는 혁명의 도시라기보다 문화와 예술의 도시가 더 적절하다 느껴졌다.
‘혁명과 예술’의 역설 또는 조화.
이곳에는 100개의 섬 그리고 네바강의 수많은 지류와 운하를 연결하는 365개의 아름다운 다리, ‘북방의 베니스’
톨스토이의 모스크바와 푸슈킨의 페테르부르크의 차이.
페테르부르크에 대한 애정, 물론 이 도시에 묻혀있는 역사와 사람들에 대한 애정이다.
때로는 혁명으로 역사의 무대에 솟아오르기도 하고, 때로는 80만명의 목숨을 바쳐가면서 900일에 걸친 독일군의 포위를 견디는 저력이 되기도 한다.
애정을 바칠 수 있는 도시를 가진 사람들은 참으로 행복하고 강한 사람들이라는 부러움을 사고도 남을 것이다.
고리키, 차이코프스키, 도스토에프스키 푸슈킨 등.
도스토에프스키는 인간의 오만을 ‘죄’로 규정하고 그것을 ‘벌’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 오만이 인간의 자연에 대한 오만이건, 인간의 인간에 대한 오만이건 오만은 애정이 결핍될 때 나타나는 질병일지 모른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우리들이 애정을 바칠 수 있는 도시를 만들어 나가는 일인데,
그것은 건물을 세우고 도로를 만드는 것만으로는 불가능하다.
결국은 사람을 만들어내고 역사를 만들어내는 것이어야 한다.
애정을 바칠 수 있는 사람을 길러내는 일, 사람들과의 관계를 아름답게 만들어내는 일에서부터 시작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상트 페테르부르크는 소련이 해체되기 전까지 레닌그라드라 불리었던 고도.
‘역설의 도시’
일찍이 표트르 대제가 낙후한 제정 러시아를 강력한 제국으로 만들기 위하여 이곳으로 천도하여 혼신의 정열을 기울여 이룩한 도시였음에도 불구하고,
역설적이게도 제정을 붕괴시킨 혁명의 도시가 되어버린 역사의 아이러니를 두고 한 말.
‘유럽을 향하여 열린 창’이었던 페테르부르크는 그 열린 창으로 쏟아져들어오는 새로운 사상으로 말미암아 도리어 제정 러시아의 전제정치가 역조명되고 결국 제정의 붕괴로 이어졌다.
최초의 사회주의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된 역사의 현장.
1905년 빵과 자유를 외치며 행진해 온 민중들이 총탄의 세례를 받고 쓰러진 궁전광장,
농노제와 전제정치를 반대하여 궐기한 지식인들의 양심이 좌절된 데카브리스트 광장,
그리고 1917년 10월 혁명의 신호를 올린 오로라 순양함 등.
혁명이 자취를 찾아다니는 동안, 페테르부르크는 혁명의 도시라기보다 문화와 예술의 도시가 더 적절하다 느껴졌다.
‘혁명과 예술’의 역설 또는 조화.
이곳에는 100개의 섬 그리고 네바강의 수많은 지류와 운하를 연결하는 365개의 아름다운 다리, ‘북방의 베니스’
톨스토이의 모스크바와 푸슈킨의 페테르부르크의 차이.
페테르부르크에 대한 애정, 물론 이 도시에 묻혀있는 역사와 사람들에 대한 애정이다.
때로는 혁명으로 역사의 무대에 솟아오르기도 하고, 때로는 80만명의 목숨을 바쳐가면서 900일에 걸친 독일군의 포위를 견디는 저력이 되기도 한다.
애정을 바칠 수 있는 도시를 가진 사람들은 참으로 행복하고 강한 사람들이라는 부러움을 사고도 남을 것이다.
고리키, 차이코프스키, 도스토에프스키 푸슈킨 등.
도스토에프스키는 인간의 오만을 ‘죄’로 규정하고 그것을 ‘벌’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 오만이 인간의 자연에 대한 오만이건, 인간의 인간에 대한 오만이건 오만은 애정이 결핍될 때 나타나는 질병일지 모른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우리들이 애정을 바칠 수 있는 도시를 만들어 나가는 일인데,
그것은 건물을 세우고 도로를 만드는 것만으로는 불가능하다.
결국은 사람을 만들어내고 역사를 만들어내는 것이어야 한다.
애정을 바칠 수 있는 사람을 길러내는 일, 사람들과의 관계를 아름답게 만들어내는 일에서부터 시작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출처 : 68 기러기
글쓴이 : 박동희 원글보기
메모 :
'(68 기러기 카페 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페이터의 산문`(4-4.끝.)/이양하 (0) | 2018.11.15 |
---|---|
[스크랩] 추워서 좋은 날 (0) | 2018.11.15 |
[스크랩] `페이터의 산문`/이양하(3/4) (0) | 2018.11.15 |
[스크랩] `페이터의 산문`/이양하(2/4) (0) | 2018.11.15 |
[스크랩] `페이터의 산문`/이양하(1/4) (0) | 2018.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