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은 정신병에 걸리는 법이 없습니다.(킬리만자로의 표범)
높이 5895미터의 아프리카 최고봉, 정상을 하얗게 덮고 있는 만년설로 더욱 신비로운 적도의 산, 킬리만자로.
‘킬리만자로의 정상 부근에 얼어죽은 표범의 시체가 있다. 그 높은 곳에서 표범은 무엇을 찾고 있었는지 아무도 설명해 주지 않는다.’
헤밍웨이가 그의 소설 ‘킬리만자로의 눈’ 서두에 화두처럼 던져놓은 구절이다.
‘만년설 부근에서 혹시 표범의 시체가 발견된 적이 있나요?’
‘눈이 있는 곳은 5000미터 이상, 가장 높이 올라가는 원숭이도 4000미터까지,,,,’
‘혹시 정신병에 걸린 표범이 올라갔다고 볼 수 있나요?’
‘동물은 정신병에 걸리는 법이 없을 걸요. 정신병은 사람만 걸리는 병인걸요.’
한가로이 여기저기에서 초원을 걷고 있는 동물 떼들은 ‘빈손과 맨발’
그들은 정신을 빼앗길만한 물건들을 소유하는 일들이 애당초 없다.
헤밍웨이의 소설은 한 남자의 임종을 그리고 있다.
결코 정직하게 살았다고 할 수 없는 유럽의 지식인이 원시의 땅 아프리카의 오지에서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며 죽음을 맞는 이야기.
훼밍웨이가 그의 죽음을 통하여 무엇을 말하려고 했는지 잘 모른다.
혹시 얼어죽은 표범이 아프리카의 대각점에 있는 유럽의 ‘문화’와 ‘도시’가 아니었을까.
우리의 문화와 도시는 사슴이나 얼룩말 같은 초식동물로 살아온 것이 아니라 이러한 초식동물들을 먹이로 삼는 육식동물로 살아온 것.
표범으로 살아온 역사가 아닌가.
킬리만자로에서 얼어죽은 표범이 우리의 자화상이 아닐까.
가장 가고싶은 나라가 동물의 왕국 ‘케냐’라는 어느 설문조사의 결과는 수많은 사람들이 도시문명에 지친 심신을 이끌고, 만년설을 찾아가는 지친 표범이 아닐까.
도시는 한마디로 ‘반자연의 공간’
자연을 거부하며 자연과 끊임없이 싸우는 공간.
도시가 문화의 공간이며 역사의 공간임에는 틀림없지만 기본적으로는 자연으로부터의 거리가 문화의 높이로 계산하고 있는 것이 도시의 본질 아닌가.
그러나 돈 없는 도시의 모습은 돈 없는 사람의 모습보다 훨씬 초라하다.
단 하루라도 닦고 쓸고 때우고 칠하지 않으면 금방 회색의 공간으로 남루하게 변해버리는 것이 도시의 속성 아닌가.
서울을 떠날 수 없는 우리들에게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복고적 메시지를 띄우는 것이 아니다.
문명과 야만이라는 이항 대립의 도식으로 문명사를 농단할 수 없듯이, 문명과 야만을 조화할 수 있는 ‘길’은 없는 것인가.
‘흐르지 않는 모래강’에서 목을 대고 죽어 있는 사슴과 만년설 부근에서 얼어죽은 표범이 동시에 구제되는 삶의 방법은 없는 것인가.
잠 못 이루는 아프리카의 밤은 참으로 찬란하기만 하다.
어느 하늘 구석이든 잠시만 시선을 멎으면 거기 가득히 별이 쏟아져 내린다.
시선을 타고 쏟아져 내린 별들은 우리의 가슴에 와서 분수처럼 퍼진다.
높이 5895미터의 아프리카 최고봉, 정상을 하얗게 덮고 있는 만년설로 더욱 신비로운 적도의 산, 킬리만자로.
‘킬리만자로의 정상 부근에 얼어죽은 표범의 시체가 있다. 그 높은 곳에서 표범은 무엇을 찾고 있었는지 아무도 설명해 주지 않는다.’
헤밍웨이가 그의 소설 ‘킬리만자로의 눈’ 서두에 화두처럼 던져놓은 구절이다.
‘만년설 부근에서 혹시 표범의 시체가 발견된 적이 있나요?’
‘눈이 있는 곳은 5000미터 이상, 가장 높이 올라가는 원숭이도 4000미터까지,,,,’
‘혹시 정신병에 걸린 표범이 올라갔다고 볼 수 있나요?’
‘동물은 정신병에 걸리는 법이 없을 걸요. 정신병은 사람만 걸리는 병인걸요.’
한가로이 여기저기에서 초원을 걷고 있는 동물 떼들은 ‘빈손과 맨발’
그들은 정신을 빼앗길만한 물건들을 소유하는 일들이 애당초 없다.
헤밍웨이의 소설은 한 남자의 임종을 그리고 있다.
결코 정직하게 살았다고 할 수 없는 유럽의 지식인이 원시의 땅 아프리카의 오지에서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며 죽음을 맞는 이야기.
훼밍웨이가 그의 죽음을 통하여 무엇을 말하려고 했는지 잘 모른다.
혹시 얼어죽은 표범이 아프리카의 대각점에 있는 유럽의 ‘문화’와 ‘도시’가 아니었을까.
우리의 문화와 도시는 사슴이나 얼룩말 같은 초식동물로 살아온 것이 아니라 이러한 초식동물들을 먹이로 삼는 육식동물로 살아온 것.
표범으로 살아온 역사가 아닌가.
킬리만자로에서 얼어죽은 표범이 우리의 자화상이 아닐까.
가장 가고싶은 나라가 동물의 왕국 ‘케냐’라는 어느 설문조사의 결과는 수많은 사람들이 도시문명에 지친 심신을 이끌고, 만년설을 찾아가는 지친 표범이 아닐까.
도시는 한마디로 ‘반자연의 공간’
자연을 거부하며 자연과 끊임없이 싸우는 공간.
도시가 문화의 공간이며 역사의 공간임에는 틀림없지만 기본적으로는 자연으로부터의 거리가 문화의 높이로 계산하고 있는 것이 도시의 본질 아닌가.
그러나 돈 없는 도시의 모습은 돈 없는 사람의 모습보다 훨씬 초라하다.
단 하루라도 닦고 쓸고 때우고 칠하지 않으면 금방 회색의 공간으로 남루하게 변해버리는 것이 도시의 속성 아닌가.
서울을 떠날 수 없는 우리들에게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복고적 메시지를 띄우는 것이 아니다.
문명과 야만이라는 이항 대립의 도식으로 문명사를 농단할 수 없듯이, 문명과 야만을 조화할 수 있는 ‘길’은 없는 것인가.
‘흐르지 않는 모래강’에서 목을 대고 죽어 있는 사슴과 만년설 부근에서 얼어죽은 표범이 동시에 구제되는 삶의 방법은 없는 것인가.
잠 못 이루는 아프리카의 밤은 참으로 찬란하기만 하다.
어느 하늘 구석이든 잠시만 시선을 멎으면 거기 가득히 별이 쏟아져 내린다.
시선을 타고 쏟아져 내린 별들은 우리의 가슴에 와서 분수처럼 퍼진다.
출처 : 68 기러기
글쓴이 : 박동희 원글보기
메모 :
'(68 기러기 카페 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덕수궁만도 못하잖아?`---오사카성에서 (0) | 2018.11.14 |
---|---|
[스크랩] 팔불출 5---만남, 우연일까 필연일까? (0) | 2018.11.14 |
[스크랩] 이집트의 피라미드, 우리는 영생할 수 있는가?-----더불어숲에서 17 (0) | 2018.11.14 |
[스크랩] 팔불출 4----`저, 이번 추석에도 못내려가건는디요` (0) | 2018.11.14 |
[스크랩] 팔불출 3---`적어 놔, 적어 놔` (0) | 2018.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