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17.일.
'일기예보로는 오늘 늦게 눈이 온다고 하였는데....'
'그것도 제법 많이 올 거라 하였는데.....'
'아직도 오시지 않으니, 아마 예보가 틀린 모양이로구나........'
아니 오신다던 '눈님'이 왜 오시질 않지 하며, 어린애처럼 어제 내내 기다렸었다.
그런데, 잠자리에 들려고 커튼을 닫으려하며 창밖을 보니.....
언제부터 눈이 내리고 있었는지 벌써 어둠의 도시는 하얗게 눈으로 쌓여가고,
여전히 하늘은 함박눈을 내리고 있었다.
우리엄니말씀처럼, 섣달 그믐날 저녁 노처녀 돼지밥 퍼주듯, 소담스런 함박눈이 수북수북 쌓이고 있었다.
덕수궁 돌담길을 돌았으면.........
종로거리를 마냥 걸어다녔으면........
이 밤에 남산길을 산책하면 얼마나 좋을까?
나는 아직도 철부지.
눈이 오면 그냥, 마냥, 좋기만 하다.
철부지는 한 발 더 나아간다.
내친김에 수원까지 내려가 보자.
눈 내리는 교정을 다시 걸어다녀보고..............
눈을 맞이하는 수목원의 물푸레나무는 얼마나 좋아할까
그리고 쭉쭉빵빵 소나무들의 연습림은, 어둠깔려 눈내리는 밤 호숫가 서호는...........
비몽사몽간에 한바탕 여기저기 노니다가
아침에 눈을 뜨니, 7시경.
여느때 같으면 나의 일요일 시계로는 아직 새벽인데
오늘은 웬일로 이렇게 이른 시각에 눈이 떠졌는가.
눈이 온통 세상에 내렸으니 눈이 일찍 뜨인 건가.
오늘도 내내 눈이 내렸으면 더 좋을 터인데.........
눈은 더 이상 내리지 않았으나 벌써 우리의 도시는 순백의 세상이 되어 있었다.
물씬물씬 물신의 냄새가 속물을 떠나 눈속으로 파묻혔을까?
제법 그럴 듯하게 속물도시는 밤새 착한 아이처럼 하얗게 웃고 있었다.
산으로 가자.
산에 가면 더 좋은 것들을 더 많이 볼 수 있으리.
'눈 왔는데 산에 갈려고라?'
'미끄러울 텐데 허리다치고 다리 다치면 어쩌려고라?'( 악어에 '거기'를 물린 사내의 아내왈 '살아도 못살지 몬살어'가 갑자기 왜 떠오르남??)
아닌게 아니라 속으로 걱정꺽쩡하면서 한편으론 가지 않은 게 좋겠다 싶기도 했다.
그러나, 눈에 산속의 눈이 삼삼하게 들어오는데 어찌 그냥 모른채 눈을 감는단 말인가.
'조심해서 다녀올거구만.'
계백장군 황산벌 나가듯 사뭇 비장스럽게 눈속산행 군장을 꾸리는데........
'꼭 아이젠 하고 올라가랑께..........'
어느새 지난해 큰아달넘이 선물한 특별 아이젠을 건네준다.
이래서 늙어서는 죽으나사나 마누라가 최고라 하는가.
북한산을 갈까
관악산을 갈까
아니 청계산으로 가자.
오늘은 눈이 왔으니 더 편안하고 다정다감한 여성성 청계산으로!
버스정류장까지 걷는 동안 눈에 밟히는 것들이 온통 눈뿐,
어젯밤 눈이 많이도 내렸구나 싶었다.
버스를 타고 또 다시 갈아타고 하는 사이, 눈에 보이는 도시의 풍경은 역시 온통 눈눈눈, 오직 눈뿐이었다.
얼마만에 가는 청계산인가.
오랜만에 가는 산행인데 온통 눈천지 속이라 눈이 휘둥구레, 마음은 눈처럼 하얗게 설레었다. 그동안 여름내내 가을내내 18구멍에 홀딱 빠져서 백팔번뇌하느라 거의 산을 찾지 못하였는데,
가는 날이 장날이라 눈덮인 산을 가는 축복이라니, 너무 좋구낫!
하나로앞 마을버스 정류장.
한동안 오지않던 버스가 손님을 태우지도 못하고 그냥 간다.
또 기다리느니, 옛골까지 가지말고 삼림욕장쪽으로 들어가 옥녀봉으로 그리고 헬기장에서 옛골쪽으로 가자.
더 많이 걸을 수 있는 것도 축복 아니던가.
짐짝되어 버스도움을 받는 것보다 튼튼한 다리로 움직이게 되었으니
더 좋지 않으냐.
삼림욕장입구를 거쳐 황톳길가는 첫옹달샘앞.
토끼되어 그러나 눈비비지는 않고 마음비비며 물한모금 꿀꺽꿀꺽
그리고 아이젠하고 나니,
눈덮인 청계산은 벌써 내것이 되어 있었다.
눈덮인 도시도 좋았지만, 듬직하고 큼직한 산덩어리가 온통 눈에 덮혀 내 눈속으로 들어오니, 내가 꼭 꿈을 꾸는 것 같았다.
'내가 지금 꿈길 속을 걸어다니는 것이로세.............'
'내가 살아서 꿈을 꾸는 것이냐 아니면 내가 꿈 속에서 사는 것이냐?'
다시 장자의 호접몽이 생각되었다.
'내가 나비이더냐, 아니면 반대로 나비가..........?'
그것은 아무래도 좋았다. 발바닥에 밟히는 눈소리가 뿌드득 뿌드득 거리면
눈덮힌 산속 풍경이 온통 내눈에 밟혀서 뽀드득 뽀드득 소리내며 순백세상이 되어 들어오고 있었으니......따져서 뭣 할 것인가.
눈을 조금 들어 저멀리 산등성이를 보면, 앙상하던 나무들이 이제 떡가루를 머리에 이고 열병하듯 늘어서 있는데, 하얀잿빛 하늘이 내려와 또한 병풍을 두르듯 하며 서로 호응하며 환호작약하고 있지 않느냐!
눈 가까이는 수만가지 눈꽃들이 그 자태를 저마다 뽐내고.........
오늘은 장미꽃도 국화꽃도 눈꽃의 아름다움에 시비걸지 말아야 할 것이렷다.
사슴뿔에 꽃이 피어있는 것이려니, 산속은 크고 작은 갖가지 사슴뿔눈꽃들의 축제장.
어, 떡가루가 하늘에서 새로이, 또, 내려오고 있지 않느냐!
뺨 위에 가냘프게 조금씩 가끔 내리던 싸래기눈이 어느사이 크기를 더하고
속도를 더 내면서 내 발걸음을 가볍게 하고 있었다.
축복이란 것이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싶었다.
'아 이게 꿈인가 생시인가?'
분명 꿈은 아니었는데 나는 꿈속같은 세상을 만나고 있었다.
하얀잿빛의 하늘은 벌써 어둡고 무거운 빛깔로 변하더니 또 이제는 제법 굵은 눈발을 내려보내고 있었다. 햇살을 보내나 했더니 무겁게 어두워지고 다시 눈발을 내리고.........
쳔변만화는 아니었어도 때때로 변하는 산속풍경이 그럴 듯하게 왔다리갔다리 하였으니, 이를 두고 꿈이냐 생시냐 타령하는 것이 아닌가.
'이 순간을 영원히'
이럴 때 쓰라고 있는 것이 카메라폰.
'찰칵 또 찰카닥'
천하의 욕심덩어리 시커먼 내 뱃속이 순백의 세상속에 푹 파묻혀
하얗게 변하여 새롭게 태어났으면 좋으련만...................
'산을 오르기는 그렇게 어렵지 않으나 내려가기가 쉽지 않다.'
눈길 산행은 더욱 더 그러하였다.
엉거주춤 그리고 엉금엉금 또 조심조심.
아이젠의 도움이 없었다면 고생깨나 하였을 것.
우리네 인생살이 산행과 똑같다하였으니, 이제 5학년 내리막 인생,
엉금거리면서 조심스레 내려갈 것이라.
아이젠이 필요한 곳에서는 반드시 준비해야지 굳이 고집부리며 마다하지 말아야 할 것이로다.
청계산의 하산길 마지막 종점은 '버섯과 묵'
'어머, 오랜만에 오시네여'
'어디로 이사가셨나 해외로 이민가셨나 했시요'
수더분한 아주머니가 반짝 반겨준다.
어찌 싫을소냐. 낯익어 묵은 인정이란 것이 오늘따라 더 하얗게 빛이 났다.
언제나처럼 보리밥 한그릇 그리고 막커피 한잔이면 오케잇!
그이상 더 이상, 무엇이 더 필요하리까.
하산길의 욕심꾸러기 시커먼 뱃속을 채우는데는 보리밥 한그릇/막커피 한잔이면 오카이 더 이상 아무것도 더 필요없었다.
''눈덮힌 산을 품속에 가득안고 꿈길 걷듯 걸었다네.
그리고 얼마나 배가 고팠는지 자연닮은 보리밥 한그릇 후따닥 먹어치웠다네.
그리고는 또 막커피 한잔으로 꿈속산길을 하나하나 끝까지 달콤하게 맛보고 있었다네.''
'나물 먹고 물 마시고 팔 베고 누웠으니 대장부 살림살이 이만하면.........'에 견줄 수야 아니겠지만,
그래도 내 무엇을 더 바라겠느뇨?
눈이 오면 그냥 좋다.
눈오는 날 산행은 더없는 축복이었다.
나는 아직도 철부지런가.
'일기예보로는 오늘 늦게 눈이 온다고 하였는데....'
'그것도 제법 많이 올 거라 하였는데.....'
'아직도 오시지 않으니, 아마 예보가 틀린 모양이로구나........'
아니 오신다던 '눈님'이 왜 오시질 않지 하며, 어린애처럼 어제 내내 기다렸었다.
그런데, 잠자리에 들려고 커튼을 닫으려하며 창밖을 보니.....
언제부터 눈이 내리고 있었는지 벌써 어둠의 도시는 하얗게 눈으로 쌓여가고,
여전히 하늘은 함박눈을 내리고 있었다.
우리엄니말씀처럼, 섣달 그믐날 저녁 노처녀 돼지밥 퍼주듯, 소담스런 함박눈이 수북수북 쌓이고 있었다.
덕수궁 돌담길을 돌았으면.........
종로거리를 마냥 걸어다녔으면........
이 밤에 남산길을 산책하면 얼마나 좋을까?
나는 아직도 철부지.
눈이 오면 그냥, 마냥, 좋기만 하다.
철부지는 한 발 더 나아간다.
내친김에 수원까지 내려가 보자.
눈 내리는 교정을 다시 걸어다녀보고..............
눈을 맞이하는 수목원의 물푸레나무는 얼마나 좋아할까
그리고 쭉쭉빵빵 소나무들의 연습림은, 어둠깔려 눈내리는 밤 호숫가 서호는...........
비몽사몽간에 한바탕 여기저기 노니다가
아침에 눈을 뜨니, 7시경.
여느때 같으면 나의 일요일 시계로는 아직 새벽인데
오늘은 웬일로 이렇게 이른 시각에 눈이 떠졌는가.
눈이 온통 세상에 내렸으니 눈이 일찍 뜨인 건가.
오늘도 내내 눈이 내렸으면 더 좋을 터인데.........
눈은 더 이상 내리지 않았으나 벌써 우리의 도시는 순백의 세상이 되어 있었다.
물씬물씬 물신의 냄새가 속물을 떠나 눈속으로 파묻혔을까?
제법 그럴 듯하게 속물도시는 밤새 착한 아이처럼 하얗게 웃고 있었다.
산으로 가자.
산에 가면 더 좋은 것들을 더 많이 볼 수 있으리.
'눈 왔는데 산에 갈려고라?'
'미끄러울 텐데 허리다치고 다리 다치면 어쩌려고라?'( 악어에 '거기'를 물린 사내의 아내왈 '살아도 못살지 몬살어'가 갑자기 왜 떠오르남??)
아닌게 아니라 속으로 걱정꺽쩡하면서 한편으론 가지 않은 게 좋겠다 싶기도 했다.
그러나, 눈에 산속의 눈이 삼삼하게 들어오는데 어찌 그냥 모른채 눈을 감는단 말인가.
'조심해서 다녀올거구만.'
계백장군 황산벌 나가듯 사뭇 비장스럽게 눈속산행 군장을 꾸리는데........
'꼭 아이젠 하고 올라가랑께..........'
어느새 지난해 큰아달넘이 선물한 특별 아이젠을 건네준다.
이래서 늙어서는 죽으나사나 마누라가 최고라 하는가.
북한산을 갈까
관악산을 갈까
아니 청계산으로 가자.
오늘은 눈이 왔으니 더 편안하고 다정다감한 여성성 청계산으로!
버스정류장까지 걷는 동안 눈에 밟히는 것들이 온통 눈뿐,
어젯밤 눈이 많이도 내렸구나 싶었다.
버스를 타고 또 다시 갈아타고 하는 사이, 눈에 보이는 도시의 풍경은 역시 온통 눈눈눈, 오직 눈뿐이었다.
얼마만에 가는 청계산인가.
오랜만에 가는 산행인데 온통 눈천지 속이라 눈이 휘둥구레, 마음은 눈처럼 하얗게 설레었다. 그동안 여름내내 가을내내 18구멍에 홀딱 빠져서 백팔번뇌하느라 거의 산을 찾지 못하였는데,
가는 날이 장날이라 눈덮인 산을 가는 축복이라니, 너무 좋구낫!
하나로앞 마을버스 정류장.
한동안 오지않던 버스가 손님을 태우지도 못하고 그냥 간다.
또 기다리느니, 옛골까지 가지말고 삼림욕장쪽으로 들어가 옥녀봉으로 그리고 헬기장에서 옛골쪽으로 가자.
더 많이 걸을 수 있는 것도 축복 아니던가.
짐짝되어 버스도움을 받는 것보다 튼튼한 다리로 움직이게 되었으니
더 좋지 않으냐.
삼림욕장입구를 거쳐 황톳길가는 첫옹달샘앞.
토끼되어 그러나 눈비비지는 않고 마음비비며 물한모금 꿀꺽꿀꺽
그리고 아이젠하고 나니,
눈덮인 청계산은 벌써 내것이 되어 있었다.
눈덮인 도시도 좋았지만, 듬직하고 큼직한 산덩어리가 온통 눈에 덮혀 내 눈속으로 들어오니, 내가 꼭 꿈을 꾸는 것 같았다.
'내가 지금 꿈길 속을 걸어다니는 것이로세.............'
'내가 살아서 꿈을 꾸는 것이냐 아니면 내가 꿈 속에서 사는 것이냐?'
다시 장자의 호접몽이 생각되었다.
'내가 나비이더냐, 아니면 반대로 나비가..........?'
그것은 아무래도 좋았다. 발바닥에 밟히는 눈소리가 뿌드득 뿌드득 거리면
눈덮힌 산속 풍경이 온통 내눈에 밟혀서 뽀드득 뽀드득 소리내며 순백세상이 되어 들어오고 있었으니......따져서 뭣 할 것인가.
눈을 조금 들어 저멀리 산등성이를 보면, 앙상하던 나무들이 이제 떡가루를 머리에 이고 열병하듯 늘어서 있는데, 하얀잿빛 하늘이 내려와 또한 병풍을 두르듯 하며 서로 호응하며 환호작약하고 있지 않느냐!
눈 가까이는 수만가지 눈꽃들이 그 자태를 저마다 뽐내고.........
오늘은 장미꽃도 국화꽃도 눈꽃의 아름다움에 시비걸지 말아야 할 것이렷다.
사슴뿔에 꽃이 피어있는 것이려니, 산속은 크고 작은 갖가지 사슴뿔눈꽃들의 축제장.
어, 떡가루가 하늘에서 새로이, 또, 내려오고 있지 않느냐!
뺨 위에 가냘프게 조금씩 가끔 내리던 싸래기눈이 어느사이 크기를 더하고
속도를 더 내면서 내 발걸음을 가볍게 하고 있었다.
축복이란 것이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싶었다.
'아 이게 꿈인가 생시인가?'
분명 꿈은 아니었는데 나는 꿈속같은 세상을 만나고 있었다.
하얀잿빛의 하늘은 벌써 어둡고 무거운 빛깔로 변하더니 또 이제는 제법 굵은 눈발을 내려보내고 있었다. 햇살을 보내나 했더니 무겁게 어두워지고 다시 눈발을 내리고.........
쳔변만화는 아니었어도 때때로 변하는 산속풍경이 그럴 듯하게 왔다리갔다리 하였으니, 이를 두고 꿈이냐 생시냐 타령하는 것이 아닌가.
'이 순간을 영원히'
이럴 때 쓰라고 있는 것이 카메라폰.
'찰칵 또 찰카닥'
천하의 욕심덩어리 시커먼 내 뱃속이 순백의 세상속에 푹 파묻혀
하얗게 변하여 새롭게 태어났으면 좋으련만...................
'산을 오르기는 그렇게 어렵지 않으나 내려가기가 쉽지 않다.'
눈길 산행은 더욱 더 그러하였다.
엉거주춤 그리고 엉금엉금 또 조심조심.
아이젠의 도움이 없었다면 고생깨나 하였을 것.
우리네 인생살이 산행과 똑같다하였으니, 이제 5학년 내리막 인생,
엉금거리면서 조심스레 내려갈 것이라.
아이젠이 필요한 곳에서는 반드시 준비해야지 굳이 고집부리며 마다하지 말아야 할 것이로다.
청계산의 하산길 마지막 종점은 '버섯과 묵'
'어머, 오랜만에 오시네여'
'어디로 이사가셨나 해외로 이민가셨나 했시요'
수더분한 아주머니가 반짝 반겨준다.
어찌 싫을소냐. 낯익어 묵은 인정이란 것이 오늘따라 더 하얗게 빛이 났다.
언제나처럼 보리밥 한그릇 그리고 막커피 한잔이면 오케잇!
그이상 더 이상, 무엇이 더 필요하리까.
하산길의 욕심꾸러기 시커먼 뱃속을 채우는데는 보리밥 한그릇/막커피 한잔이면 오카이 더 이상 아무것도 더 필요없었다.
''눈덮힌 산을 품속에 가득안고 꿈길 걷듯 걸었다네.
그리고 얼마나 배가 고팠는지 자연닮은 보리밥 한그릇 후따닥 먹어치웠다네.
그리고는 또 막커피 한잔으로 꿈속산길을 하나하나 끝까지 달콤하게 맛보고 있었다네.''
'나물 먹고 물 마시고 팔 베고 누웠으니 대장부 살림살이 이만하면.........'에 견줄 수야 아니겠지만,
그래도 내 무엇을 더 바라겠느뇨?
눈이 오면 그냥 좋다.
눈오는 날 산행은 더없는 축복이었다.
나는 아직도 철부지런가.
출처 : 68 기러기
글쓴이 : 박동희 원글보기
메모 :
'(68 기러기 카페 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006년 새해 첫날 삼각산 산행 1 (0) | 2018.11.18 |
---|---|
[스크랩] 2006년 새해 첫날 산행(3)/ 뒷풀이 (0) | 2018.11.18 |
[스크랩] `그대 내맘에 들어오면은`/성시경 (0) | 2018.11.18 |
[스크랩] The house of the rising sun/해뜨는 집 (0) | 2018.11.18 |
[스크랩] 2007년 1월1일에는 (0) | 2018.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