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6호;한세상 지루하지않게 사는법/사랑학,피스톤운동만으로?/안병수의 당지수
2008.9.8/726호
1.한세상 지루하지 않게 사는 법
-책읽기의 즐거움과 의미를 발견하게 해주는 두 권의 책 ‘책읽기의 달인’/이권우지음, ‘춘향이는 그래도 운이 좋았다’/장희창지음
-사마천은 공자는 가난하고 천하였다고 썼다. 공자의 아버지는 전처와 아들까지 있는 입장에서 공자의 어머니와 결혼햇다.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린 그 아버지가 세 살때 세상을 떠나면서 공자의 집안도 풍비박산낫다.
-논어에서 공자는 자신의 삶을 회상하면서, 열다섯은 지학, 서른은 이립....공자의 인간승리가 시작된다.
-공자는 가난과 자신의 낮은 사회적 신분에 좌절하지 않고 책을 엮은 끈이 세 번이나 끊어지도록, 읽은 책이 다섯 수레에 가득 실리도록 읽고 또 읽었다.
-저자는 독서의 이점을, ‘변신’ 혹은 ‘상승’이다. 독서는 자신의 열악한 삶을 개선하는 ‘사회적 상승’을 가져다 준다. 독서는 자시늬 인격을 도야하는 ‘존재론적 상승’도 이루게 해준다. 공자는 죽어라하고 책을 읽고 토론하면서 성인의 반열에 올랐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책읽기는 ‘공자되기’다.
-그렇다면 책은 어떻게 읽어야하는가? ‘천천히 읽기’ 나는 느리게 사는 첫걸음은 천천히 읽기에 있다고 여긴다. 읽기읭 영토마저 속도주의자들에게 넘길 생각은 추호도 없다. 게으르게 읽어야 상상력할 여유가 생긴다./‘토론하고 쓰기’; 힐러리 클린턴은 공화당지지자였는데 토론회에서 민주당쪽을 맡고서는 민주당지지자로 바뀌었다./‘겹쳐 읽고 깊이 읽기’;
-노마드의 운명; 제국이 무너지는 과정에서 살아남는 것은 사상의 노마디즘이고, 타자에 대한 관용이고, 인간들 사이에 증가하는 상호의존성이다.
2.정재승의 사랑학 실험실/피스톤 운동만으로 오를 수 있을까?
-흥분한 남자가 오랜 피스톤 운동 뒤 2억개의 정자가 담긴 2cc의 정액을 여자의 질 속에 방출하는 순간, 여성의 몸에선 과연 무슨 일이 벌어질까?
-성행위를 하고 있는 남녀의 MRI 영상/성행위때 남성의 성기는 부메랑처럼 휘어져 있으며, 삽입된 음경은 삽입되지 않은 음경의 뿌리부분과 120도 각도를 이루고 있었다. 피부속에 감춰져 있던 음경의뿌리가 성기 전체 길이의 3분의 1이나 차지한다.
-정자의 크기는 0.05mm, 꼬리 길이가 90%를 차지하는 올챙이 모양읭 정자들은 사정 뒤 75-90%는 질 안에서 바로 죽고...나머지만 자궁경관까지 간다.
-정자의 전진속도는 분당 3mm 정도, 사정된 정자는 자궁까지의 8cm 를 27분만에 도달하고...여기서 다시 난자가 있는 나팔관까지의 10cm를 42분만에 도착한다.
-따라서, 정자가 난자를 만나기위하여 나팔꽌까지 18cm를 여행하는데 소요하는 시간은 약70분, 이 길이는 정자 몸길이의 3천배나 되지만...약 29.5일 동안 천천히 만들어진, 정자보다 8만5천배나 큰 단 하나뿐인 난자와 결합하기 위하여, 2억마리의 정자들은 ‘자메이카의 총알’ 우사인 볼트만큼 맹진한다.
-여성은 평생 500-1,000개 정도의 난자를 만들어낸다.
-섹스때 질이 촉촉하게 젖는 이유는, 셈에 의한 분비작용이 아니라...질 내의 모세관벽에서 스며나오는 혈장에 의해서.
-여성이 오르가슴을 얻기 위해서는 클리토리스가 자극받아야 하지만, 남성의 기계적인 피스톤 운동만으로 그것을 얻을 수 잇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페니스의 기계적ㄷ 운동 자체는 클리토리스를 자극할 수 없다는 사실은 남성들에게 좀 더 섬세한 기술이 필요하며, 결코 포르노에 나오는 슈퍼 남녀의 서커스를 방불케하는 섹스로 배울 수 없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3.안병수의 바르게 먹자/좋은 동네 살아야 날씬하다?
-과일.채소 섭취량에 따라 비만도 차이나...돈 들일 것 없이 당지수 확인만으로 다이어트 가능
-과일.채소섭취량은 지역에 따라 편차가 큰데..대체로 그 동네의 사회적.경제적 지위와 관계가 깊다. 부유한 지역은 많고, 부유하지 않은 지역은 상대적으로 적다. 저소득층 마을에서 비만율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현실이 다 이유가 있다는 것이다.
-비만 억제의 가장 큰 공헌자는 섬유질. //섬유질이 없는 식품은 몸 안에서 혈당치를 빠르게 올린다. //혈당치가 빠르게 올라가면 과잉의 당분들이 모두 지방으로 변한다.//그 결과가 지방세포의 발달, 즉 비만이다.
-혈당치를 가장 빨리, 높게 올리는 식품이 포도당; 포도당의 혈당치 상승력을 100으로 하면 다른 식품들은 어느 수준일까? 임상조사를 통해 직접 산출햇다. 이렇게 얻어진 각 식품들의 상대적인 수치, 그것이 바로 ‘당지수 GI, Glycemic Index, 1980년대 초반에 발표된 당지수 개념은 일본의 전문가들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다.
-당시 일본의 비만연구가들은 인슐린이라는 호르몬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탄수화물을 머 r으면 저절로 분비되는 인슐린은 일종의 ‘비만 호르몬‘//대단히 중요한 호르몬이지만 과유불급. 어떻게 이 호르몬의 분비를 낮출 수 있을까? ’저당지수 식품‘ 에 그 해답이 들어있다.
‘’되도록 당지수가 낮은 식품을 골라 드세요. 일상의 식생활에서 편하게 실천할 수 있는 다이어트 방법입니다. 절식의 고통이 없다는 점이 매력이죠. 요요 현상도 걱정할 필요가 없어요‘’/
-저인슐린 다이어트방법; 가장 중요한 식픔은 당연히 과일과 채소. 이 두 식품은 당지수가 낮ㅇ를 뿐아니라 함게 먹는 다른 식품의 당지수까지 낮춰준다.
-‘좋은 동네에 살아야 한다?’ 사는 동네가 중요한 것ㄱ이 아니라 ‘식탁의 당지수’가 중요하다. 당신 식탁의 당지수는 얼마인가? 과수원과 채소밭에서 건강 난다.
-당지수가 70이상이면 고당지수 식품, 55이하이면 저당지수 식품으로 분류한다.
-저인슐린 다이어트에서는 당지수가 60이하인 식품을 먹도록 권유한다.
-탄수화물이 적음에도 당지수가 높은 식품은 ‘당부하지수 GL, Glycemic Load,라는 다른 지표로 비교한다/당지수는 높아도 탄수화물의 양이 적으면 당부하지수는 낮다.
-식품에 지방질을 첨가하면 당지수가 낮아진다.....?????
-주요식픔의 당지수; 감자90, 고구마55, 호박53, 토마토30, 무 26, 배추23, 브로콜리25, 시금치15....식빵91, 백미84, 우동80, 옥수수70, 현미56, 통일빵50...딸기잼82 바나나56, 사과36 배32 딸기29...두부42, 된장34, 청국장33, 땅콩28, 콩20...도넛86, 케이크 82, 쿠키77, 우유25, 양송이24, 다시마17/노트정리 2009.1.27